‘빛의 마술사’ 제임스 터렐, 17년 만에 한국서 개인전

By.
209

페이스갤러리서 9월 27일까지 진행

 

‘빛의 마술사’, ‘빛과 공간의 예술가’로 불리는 세계적인 설치미술가인 미국 작가 제임스 터렐(82)의 개인전이 서울 한남동 페이스갤러리에서 진행되고 있다. 2008년 서울 토탈미술관 등 3곳에서 동시에 열렸던 개인전 이후 17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하는 개인전이다.

국내에는 강원도 원주 뮤지엄산(SAN)에 있는 제임스터렐관이 있어 더욱 유명하다.

터렐은 1960년대부터 일관되게 빛과 공간을 이용해 인간의 지각(인지)을 바꾸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작업해 왔다. 대학에서 인지심리학과 수학을 공부했고 18세에 조종사 자격증을 땄다. 명상과 정신적 수련을 중시하는 퀘이커교도라는 점이 그의 작업에 영향을 미쳤다. 어렸을 때 할머니가 해 준 ‘네 안의 빛을 찾아라’는 말도 평생에 걸친 빛 탐구 여정의 길잡이가 됐다고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모서리에 색색의 빛을 투사해 빛의 벽을 중첩하는 ‘웨지워크’, 일상 공간에서 빛을 체험하게 하는 LED 작업 ‘글래스워크(Glassworks)’ 등 5점의 설치, 판화와 홀로그램 작업, 그리고 미국 애리조나의 사화산에서 50년 가까이 진행 중인 ‘로든 분화구’와 관련된 사진 등 25점을 선보인다.

터렐은 지난 11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미술의 역사에서 빛을 묘사한 작가들이 정말 많았지만 나는 빛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서 빛 자체를 다루는 예술을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빛을 이용한 그의 설치 작업은 명상적이면서 때론 낯선 경험을 불러일으킨다는 평이다. 단지 빛이 변화했을 뿐인데 주변의 공간이 낯설고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면서 묘한 기분에 빠져들기도 한다.

터렐은 이를 두고 빛을 통해 인식이 전환되는 경험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작품 안에서 느끼는 혼란을 통해 우리가 어떤 식으로 세계를 인식하는지를 깨닫고 그럼으로써 우리가 스스로 현실을 어떻게 구축하는지를 배우게 되는 것”이라며 “그래서 인식의 문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시에서는 어둠 속에서 빛의 존재를 조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신작 ‘웨지워크’를 국내에서 처음 공개한다. 교차 투사되는 평면의 빛을 통해 공간이 물리적 경계를 넘어 확장되는 듯한 몰입감을 주는 작품이다. 20분간 빛의 색이 변하는 작업이다. 웨지워크는 3점 뿐이며 국내에는 처음 공개됐다.

전시는 9월 27일까지. 무료 관람이며 네이버를 통해 예약해야 한다. 관람객이 명상하는 듯 작품을 감상할 수 있길 바라는 작가 의도에 따라 사진 촬영이 금지된다.

Tag

More Detail,
More Clarity NAMDI

남다른디테일의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유익한 정보와 즐거움을 얻으셨다면 작은 응원 부탁드려요.
독자분들의 응원이 남다른디테일의 힘입니다. 후원금의 일부는 좋은 일에 쓸 수있도록 하겠습니다.

응원하기

남다른디테일의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유익한 정보와 즐거움을 얻으셨다면 작은 응원 부탁드려요.
독자분들의 응원이 남다른디테일의 힘입니다. 후원금의 일부는 좋은 일에 쓸 수있도록 하겠습니다.

남다른디테일 후원계좌

1005-904-464814

우리은행 | 주식회사 남다른디테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ill out this field
Fill out this field
유효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You need to agree with the terms to proceed

arts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