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팀 단복 놓고 국민들 비판 끊이지 않아
무신사와 청와대의 커넥션 의문 제기하기도
국가대표 단복 단순한 유니폼 아닌, 전통성, 기능성, 심미성 등 두루 갖춰야
오는 26일 ‘제33회 파리 하계올림픽대회’ 개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무신사에서 전개하는 캐주얼웨어 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에서 제작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개·폐회식 단복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거에도 삼성물산패션부문(빈폴), 코오롱FnC(캠브리지멤버스) 등이 개·폐회식 단복을 맡았지만 단복을 놓고 논란이 벌어진 건 이번이 처음인 듯하다.
‘멋지다’, ‘최고다’ 등의 의견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이 실망스럽다는 의견이다. 심지어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나와 논란이 됐던 ‘무신사 냄새’라는 표현을 쓰며 국가대표팀 단복을 비판하기도 했다.
‘무신사 냄새’는 MZ세대 남성들의 획일적인 패션이 돼버린 무신사를 비아냥대는 표현이다. 이는 무신사의 장점인 ‘무난함’이 한순간에 ‘무개성’이라는 단점으로 뒤바뀌는 계기가 됐다.
많은 사람들은 어쩌다 무신사 같은 기업이 올림픽 국가대표팀 단복을 제작하게 됐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심지어 청와대와의 커넥션 의혹을 제기하는 이들도 있다. 예를 들어 지난해 무신사가 일본 도쿄에서 팝업스토어를 열었을 때 대통령 이름으로 화환이 전달됐다는 말도 있다. 이에 대해 무신사 측은 “모르는 일”이라는 입장이다.
그 외에도 SNS상에는 입에 담기도 힘든 거친 표현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번 무신사의 올림픽 국가대표팀 단복 제작은 대한체육회가 먼저 무신사 측에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무신사는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 때도 국가대표팀 단복을 제작한 바 있어 그 인연도 있었을 듯싶다. 글로벌 브랜드로 이름을 알리고 싶은 무신사의 계산도 있었을 것이다.
올림픽의 국가대표팀 단복은 단순한 유니폼이 아니다. 올림픽에 참가하는 각 국가들의 전통성을 나타내고 국가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또 그것을 입는 선수들이 편안함을 느껴야 할 것이며 디자인 적으로도 만족감을 줘야할 것이다. 전통성을 나타내고자 한복을 제작했는데 선수들이 입기 꺼려하면 그건 실패한 단복이다. 물론 보는 이들도 ‘예쁘다’, ‘멋지다’라고 느껴야 할 것이다.
국가대표팀의 단복은 정해진 조건은 없겠지만, 전통성, 기능성, 심미성 등을 두루 갖춰야 한다. 게다가 이번 파리올림픽은 패션의 중심 도시 파리에서 개최되는 행사가 아니던가. 이번 파리올림픽은 패션 명품기업 LVMH그룹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패션 올림픽을 방불케 한다.
무신사가 만드는 무신사 스탠다드는 창의성이 뛰어난 제품을 만드는 브랜드도 아니며 한국적인 미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브랜드도 아니다.
그냥 합리적인 가격에 입기 편한 ‘베이식(basic)’한 옷을 대량으로 찍어내는 브랜드이다. 어쩌다 이런 브랜드가 국가를 대표하는 올림픽 국가대표팀 단복을 제작하게 됐을까.
전통성과 창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면 보기에도 깔끔하고 예쁘게 제작됐더라면 국민들이 이렇게 비판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차라리 이랜드의 스파오에서 제작한 파리 패럴림픽 단복이 더 깔끔하다는 평이 많다.
심지어는 몽골 국가대표팀 단복 디자인과 비교되면서 몽골 국가대표팀 단복이 훨씬 낫다는 평들도 올라오고 있다. 몽골 국가대표님 단복은 울란바토르에서 시작된 브랜드 ‘미셸앤아마존카(MICHEL&AMAZONKA)’에서 제작했고 몽골의 전통성과 유럽의 클래식함을 잘 살린 옷으로 평가받고 있다.
무신사에 국가대표님 단복 제작을 의뢰한 대한체육회나 또 이를 받아들여 제작하는 업체나 국민들의 비판을 잘 수용해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