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출하 감소에 따른 부정적 영향
“메모리반도체 재고 피크아웃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1조원 미만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특히 DS(반도체)부분에서는 4조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60조100억원의 매출과 영업이익 6700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전사 매출은 DS 매출 회복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출하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6% 감소한 60조1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스마트폰 출하 감소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DS부문 적자폭이 축소되고 디스플레이/TV/생활가전 수익성이 개선돼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한 67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해서는 95.26% 감소했다.
연구개발비는 7조2000억원으로 지난 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고, 시설투자도 14조5000억원으로 2분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기조를 이어갔다고 삼성전자는 전했다.
메모리반도체는 DDR5와 HBM(High Bandwidth Memory) 중심으로 AI용 수요 강세에 대응해 D램 출하량이 지난 분기에 예상한 가이던스를 상회하면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재고는 지난 5월 피크아웃(정점 후 하락)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된다고 삼성전자 측은 전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용 부품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실적 개선이 부진했다.
파운드리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모바일 등 주요 응용처 수요가 약세를 보인 가운데 라인 가동률이 하락하여 이익이 감소했다.
DX(디바이스경험)부문은 매출 40조2100억원에 영업이익 3조8300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MX(모바일 경험)는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 감소 추세 속에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 효과가 줄면서 프리미엄 비중이 감소했고, 경기 침체로 인해 중저가 시장 회복이 지연돼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그러나 갤럭시S23 시리즈가 전작 대비 견조한 판매를 이어갔고, A시리즈 상위모델 등의 판매 호조로 두 자릿수 수익성을 유지했다.
네트워크는 북미, 일본 등 주요 해외 시장 중심으로 매출이 감소했다.
VD(영상디스플레이)는 글로벌 TV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Neo QLED ▲OLED ▲초대형 등 고부가 제품 판매에 주력, 프리미엄 시장 리더십을 확대하면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생활가전은 계절적 성수기 가운데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한 매출 증가와 물류비 등 비용 절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2023년 하반기는 글로벌 IT 수요와 업황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부품 사업 중심으로 상반기 대비 전사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라며 “단 거시경제 리스크 등으로 인한 수요 회복 관련 불확실성은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