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기업회생 절차 준비했다는 구체적 정황 확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4일 “홈플러스는 언론을 통해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하지만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했고 상당 기간 기업회생 절차를 준비했다는 구체적 정황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금융당국은 최소 다음달 말까지는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 이어지는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는 한편, MBK 등에 대한 검사와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 등을 지속적으로 규명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MBK·홈플러스가 회생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들을 보면 채무자와 대주주, 채권단간 주객이 전도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라며 “대주주 측의 추가 출자, 주주 우선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자구책에 대해 일언반구 언급이 없다”고 질타했다.
또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며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한다는 그간의 우려가 현실화되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이 지지부진하게 5, 6월까지 이어진다면 향후 법원 회생 계획안 합의 과정에서 오히려 채권단 등이 정상화 지연에 대해 더 비난을 받고 양보를 강요받는 역설적 상황까지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회사가 위기에 빠지면 경영 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대주주가 자본을 투입하거나 감사를 실시하는 경영 책임을 이행한 사례가 일반적이었다”며 “대주주가 사모펀드라고 경영 정상화에 대한 책임을 다르게 취급한다는 것은 오히려 특혜를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홈플러스와 MBK는 공동 입장문을 통해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하지 못했으며, 회생절차 또한 미리 준비하지 않았다”라고 해명했다.